기존 많은 게임 세계 속에서 유저들은 'Pay To Win' 즉 이기기 위해 혹은 강해지기 위하여 기꺼이 비용이나 시간을 지불하였습니다. 그러나 요즘 기존의 게임 시스템의 혁신이 다가온 것이 아닌가라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P2E라 불리는 NFT 게임들이 있습니다.
P2E 게임의 등장
P2E란 Play to Earn의 줄임말로 기존 P2W와는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Play to Earn은 직역하면 벌기위해 게임한다 라는 의미입니다. 즉 게임 속에서 아이템 등을 얻고 그것을 현금화할 수 있는 디지털 생산활동 방법이 생긴 것입니다. 그전에 많은 분들이 의구심을 갖는 것이 '기존의 다양한 MMORPG 게임에서도 암묵적인 현금거래가 존재했다'라고 말씀하실 수 있겠습니다만 대부분의 게임사는 현금거래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P2E의 등장에 또 다른 것을 고려해할 부분이 있습니다.
NFT와 게임 산업의 결합
기존에 게임 산업에서 현금거래를 진행했다하더라도 본래의 아이템을 자신의 것이라고 규정하는 부분에서 한계점이 보입니다. 즉 게임 상에서 고가의 아이템을 현금으로 구매했다 하더라도 그 아이템에 대해 개발자나 게임사에서 삭제, 수정, 이동을 시킬 수 있어 여전히 게임사의 소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혹은 게임사가 서비스를 종료한다면 아이템에 대한 유저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또한 게임사가 똑같은 아이템을 계속해서 만들어 낸다면 그 아이템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지만 이런 과정에 NFT가 등장한다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게임사에서 제작한 아이템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NFT화(대체 불가능 토큰의 줄임말로 디지털 자산의 소유가 가능해짐)하여 유저에게 전달이 된다면 해당 아이템은 디지털 상에서 개인에게 완벽히 소유가 됩니다. NFT는 게임의 특정 아이템이 진짜 원본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단순 아이템의 복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게임사는 NFT 마켓을 설립함으로써 아이템을 NFT화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게임사 고유 가상화폐
획기전인 사실은 NFT화된 아이템을 거래하는데 가상화폐가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게임사는 게임사 혹은 게임사가 만든 게임 플랫폼 생태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가상화폐를 제작하여 NFT 마켓에서 활용될 수 있게끔 합니다. 동시에 게임사는 해당 가상화폐를 상장시켜 가상화폐를 현금화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실제로 최근 NFT 게임 '미르 4'를 제작한 위메이드는 MOU 기업들과 제휴하여 '위 믹스'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설립한 뒤 위 믹스 코인을 상장시켰고, 해당 코인은 지난 15일 12시 기준 2만 3000원을 돌파했습니다.
최근 국내 다양한 게임기업들이 NFT 시장 도전하면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NFT만 붙이면 간다라는 말 저번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었는데요, 과연 거품일지 혁신적인 방법일지 많은 이들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감사합니다.
'섹터별 지식창고 >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 배터리 3사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정보와 배터리 종류 (0) | 2021.11.27 |
---|---|
오미크론이라 불리는 코로나 누 변이의 구조와 특징 (백신 무효?) (0) | 2021.11.27 |
테슬라, 리비안, 루시드 같은 전기자동차 기업은 계속 생겨날까? (0) | 2021.11.20 |
네이버 제페토 구찌를 품다? 전세계 Z세대들이 제페토에 열광하는 이유 (0) | 2021.11.16 |
메타버스 개념 정리 및 대표적인 기업 소개 (로블록스, 제페토) (0) | 2021.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