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 관련 자료를 보시면 나스닥, S&P 500, 다우 3가지를 보여줍니다. 다우지수 급락, 급등 등등 이 중 다우지수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리고 다우지수를 추종하면서 월 배당금을 주고 안정적으로 가격이 성장하는 사기적인 ETF DI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우존스 지수
투자 정보나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이동해주세요!
유래 및 역사
다우존스 지수는 최초로 시장지수라는 개념을 만들어낸 WSJ의 창립자 찰스 다우와 에드워드 존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최초엔 당시 최대의 기업 12개를 포함했지만 종목수가 점차 늘어 현재는 미국을 대표하는 30개의 기업이 포함되어있습니다.
포함된 기업
애플, JP모건, 골드만삭스, 나이키,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다우 존스 지수에 포함되는 기업은 시장의 상황이나 기업의 상황 , 성과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애플의 경우 5년 전에 편입되었고, GE 같은 초우량기업도 최근 퇴출됨) 다우 존스 지수를 보면 세계 경제의 흐름이 보인다라고들 합니다.
이때 다우 존스 지수는 30개 기업의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냅니다.
다우 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ETF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이런 다우 존스 지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펀드가 있습니다. 바로 다이아라고 불리는 DIA입니다.
SPDR이라는 회사에서 운용하며 처음 등장한 날은 1998년 01월 13일입니다. 하단의 차트를 확인해보시면 지난 52주간 가격 변동은 $289에서 $364 정도였고, 지난 10년간 성장률이 3배가 넘는 사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IA ETF의 장점
- 0.16%의 낮은 운용수수료
- 월배당
- 월배 당치고 높은 배당률 (1.57%)
- 매우 큰 안정성
DIA ETF의 장점은 운용수수료가 0.16%로 낮은 편이라는 점과배당 주기가 월배당이라는 점입니다. 이때 월 배당률은 1.57%로 월배당임에도 불구하고 높습니다.
미국이란 국가가 멸망하지 않는 이상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DIA ETF의 가격은 떨어질 수가 없다는 것을 차트에서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1년간 해당 ETF의 배당 내역을 통해 연간 배당수익만 확인해보면 주당 약 5~6불의 배당금이 지급되었으며 약 1억 원만큼의 DIA ETF를 갖고 있었다면 매매차익을 제외하고도 배당금으로만 약 100~200만 원 사이의 금액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QQQ나 SPY 보단 지난 몇 년간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배당 측면에서는 DIA가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습니다.
투자 방법 및 장단점
미국 시장에서 투자하는 방법 :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투자방법은 매우 쉽습니다. 미국 장이 열리는 시간에 해외주식거래용 MTS나 (주식 어플), HTS에서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를 검색하여 매수하시면 됩니다.
- 장점 : 지수와 차이가 거의 없다.
- 단점 : 미국 개장시간에 맞춰 매매가 가능하다.
한국시장에서 투자하는 방법 : TIGER 미국 다우존스 30 ETF
역시 투자방법은 쉽습니다. 그냥 HTS, MTS에서 TIGER 미국 다우존스 30 ETF를 매수하시면 됩니다.
- 장점 : 한국 개장 시간에 거래가 가능하다.
- 단점 : ETF가 100% 다우지수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 꿀팁 : DIA는 장기적으로 적금형 투자를 지향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절세형 계좌인 중개형 ISA에서 거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섹터별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인공태양 핵융합 기술 관련주 (ITER 사업 관련 기업) (0) | 2021.12.01 |
---|---|
인도 ETF 미국과 한국에 상장된 인도 인덱스 펀드 소개 및 비교 (0) | 2021.11.29 |
국내 상장 리츠 현황과 상장일,배당금, 배당률 등 정보 정리 (0) | 2021.11.19 |
소액으로 건물주 되는 방법! 리츠에 대해 알아보고 임대료 받자 (0) | 2021.11.19 |
AI 스타트업 매스프레소의 (mathpresso) '콴다'? (0) | 2021.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