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섹터별 지식창고/반도체

4D 낸드플래시의 모든것 - 4D 낸드의 구조 및 특징 간단하게!

by 최춘덕 2022. 1. 15.

게시물-섬네일

4D 낸드플래시란 기존 3D 낸드 플래시에 비해 집적도와 저장 가능 용량 등이 훨씬 개선된 낸드플래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4D 낸드플래시의 구조를 간단히 알아보고 눈여겨 볼만한 특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4D 낸드플래시의 구조 - 기존 낸드플래시와 다른 점 위주로

 

용어 정리

 

우선 구조를 설명드리기 앞서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셀 (Cell) :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 페리 (Peri) : 셀이 정삭적으로 작동되게 도와주는 회로
  • CTF (Charge Trap Flash) : 셀 내부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을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바꾸는 기술
  • 칩 (chip) : 반도체들의 집합 (셀,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등으로 구성)
  • 웨이퍼 : 반도체의 기본 판으로 이 위에 '칩' 들이 구성됨

※ CTF 기술을 활용하면 셀의 데이터 저장능력이 늘어나고 , 셀을 위로 높게 쌓아 올릴 수 있습니다.

 

※ 단위 크기 : 칩 > 셀

 

4D 낸드플래시 구조

 

4D 낸드플래시는 기존 3D 낸드플래시와 달리 'PUC : Peri Under Cell' 이라는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PUC' 기술은 '페리'를 셀 아래로 접어 넣어 공간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입니다. 

 

4D-낸드-구조
출처 : SK Hynix Newsroom (수정)

 

PUC 기술을 활용한 4D 낸드는 기존의 3D 낸드 구조일때 보다, 좌우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같은 공간 안에서 더 많은 Cell과 peri들이 집적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Cell과 페리를 수직으로 더 높게 쌓을수도 있게 되고, 좌우로도 더 많이 집적할 수 있게 됩니다.

 

 

4D 낸드플래시의 특징

 

높은 집적도로 인한 데이터 저장 능력 향상

 

웨이퍼 위에 반도체들이 많이 들어가서 데이터 저장 효율이 증가할수록, 반도체의 집적도가 높아진다고 표현하는데, PUC 기술을 적용하면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셀들이 들어갈 수 있겠죠?

 

즉 4D 낸드플래시의 집적도가 향상되는 것입니다. 이는 반도체 효율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4D 낸드의 PUC 구조 ▶ 집적도 향상 ▶ 데이터 저장 능력 향상 ▶ 반도체 효율 향상

 

최근 SK하이닉스의 176단 4D 낸드플래시는 개별 칩이 1 Tbps (1 테라비트)의 대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176단은 앞선 그림의 구조가 수직으로 176층까지 집적된 메모리입니다.

 

※ 1 테라비트 = 1/8 테라바이트(TB)입니다. 우리가 아는 1TB SSD는 총 저장 가능용량이 1 테라바이트라는 것이고 176단 4D낸드는 개별 칩이 1 테라비트라는 것이니 다른 개념입니다. (저장 능력이 매우 높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줄어든 칩 사이즈 

 

셀과 주변 회로들을 수직으로 쌓아 올릴 수 있으며, 좌우 공간도 아낄 수 있기 때문에, 4D 낸드플래시는 3D 낸드플래시에 비해 칩 사이즈가 약 30% 작다고 합니다. 

 

칩사이즈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웨이퍼에 더 많은 칩이 들어갈 수 있게 됩니다.

 

읽기/쓰기 속도 향상

 

4D 낸드플래시는 단순 데이터 저장 효율을 넘어 데이터를 옮기거나 제거하는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4D 낸드플래시로 제작된 SSD에 15GB 4K UHD 동영상을 약 20초 이내로 옮길 수 있다고 합니다.

 

※ 데이터 읽기 : 메모리 반도체에서 외부로 데이터를 옮길 때 / 데이터 쓰기 : 메모리 반도체로 데이터가 옮겨질 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