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섹터별 지식창고/그 외

아크버스란? 네이버의 새로운 메타버스 아크버스 의미,기술,활용방안

by 최춘덕 2021. 12. 31.

네이버가 제페토를 넘는 새로운 메타버스인 '아크 버스'를 공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크 버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기술들이 사용되는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아크버스란?

 

아크 버스 요약정리

 

자세한 내용까지 궁금하신 분들은 포스팅 끝까지 참고해주세요.

 

  • 아크 버스 (ARCVERSE) 용어 : AI + Robot + Cloud 의 첫글짜 ARC와 메타버스의 합성어
  • 아크버스 정의 : 네이버가 공개한 현실판 메타버스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세계를 모델링하는 기술  또는 그런 가상세계
  • 아크 버스에 사용되는 기술 : ALIKE 기술 , ARC 시스템
  • 아크버스 활용방안 : 현실세계 문제 해결 , 가상세계에서 현실세계의 업무 처리

 

※ 디지털 트윈 : AI, 빅데이터, IoT, cloud service와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세계의 모든 것을 가상세계에 그대로 구현하는 기술 또는 그런 가상세계

 

아크버스

아크 버스의 의미

 

요약정리해드렸지만, 아크 버스의 의미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네이버의 아크 버스는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물리적 현상을 그대로 반영한 가상세계입니다.  즉 '현실 세계의 쌍둥이 버전'이 가상 세계이고 이것이 '아크 버스'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이 'ARC 시스템'과 'ALIKE 기술'을 매개체로 상호 영향을 미칩니다.  (ARC 시스템과 ALIKE 기술 관련 내용은 포스팅 하단에서 소개합니다.)

 

네이버는 이런 모든 영향들이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는 진정한 아크 버스의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 메타버스와의 차이점 (제페토, 로블록스)

 

제페토나 로블록스는 현실 속 자아를 투영하는 '아바타'를 활용하여 현실과 연관이 없는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었다면, 아크 버스는 공간 자체가 현실을 모델링한 것입니다.

 

즉 현실과 동일하게 모델링 된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이 기존 메타버스와의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메타버스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고객이 제페토, 로블록스처럼 아바타를 통한 다양한 활동을 마치 현실 세계에서 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두 모델의 장점이 모아진 것이 우리가 원하는 메타버스라고 생각합니다.

 

 

 

아크 버스에 사용되는 기술 

가상세계 (디지털 트윈)를 구현하는 데 있어, 네이버가 5년간 쌓아온 IT분야 모든 첨단 기술을 활용합니다. 그 중심에는 ALIKE 기술과 ARC 시스템이 있습니다.

 

ALIKE 기술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ALIKE 기술입니다.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ARC 시스템에 전달하고 ARC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가상세계를 구축합니다. (ARC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하단에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도시 상공에서는 드론 및 항공기를 통해, 육상에서는 자율주행 로봇이나, 자율주행 자동차 등을 통해 실내외의 물리적 데이터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아크 버스를 구현하는 모든 기술이 ALIKE 기술입니다.

 

특히 자율주행로봇은 네이버의 실내 지도 제작 자율주행 로봇 M시리즈 (M1, M2)와 T 시리즈 (T)가 이용됩니다.

 

※ M시리즈 : 자율 운행하며 사물 간의 거리, 모형, 위치 등을 센서로 인식하고 데이터를 ARC 시스템에 전송합니다.

※ T 시리즈 : 바퀴가 달려 계단 등을 오르지 못하는 M시리즈의 한계를 위해 개발된 로봇입니다.

 

이 로봇들은 ARC 시스템의 중앙제어를 통해 운행되므로 각각의 연산장치가 없어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두뇌가 없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로봇들입니다.  

 

 

 

ARC 시스템

 

ARC 시스템은 현실세계에서 가상세계 구현을 위한 매개체들을 제어하는 '아크 버스의 두뇌'입니다. 

 

데이터 수집 및 교환을 위한 자율주행로봇이나, 자동차 등을 클라우드 및 5G 통신망 등을 활용해 제어합니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빅데이터 기술을 사용해 가상세계를 구현합니다.

 

아크버스 활용방안

 

라이더와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자율주행 자동차

 

아크 버스로 완벽히 구현된 가상세계의 데이터들을 현실세계의 자율주행 자동차들이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자율주행 자동차들에게 굳이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현재 자율주행 기술이 사용될 필요가 없습니다.  즉 라이더와 카메라가 필요없는 자율주행자동차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아크버스

 

도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교통체증 등)를 해결하기 위해 아크 버스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가상세계에서 도시 건설을 시뮬레이션한 뒤 향후 발생하는 부작용을 체크하거나, 교통 시뮬레이션을 통해 교통 체증을 해소하는 건물 및 도로 배치, 신호등 배치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 도시 시뮬레이션은 CAD를 사용한 수작업으로 일일이 모델링을 하였으나, 아크 버스는 3D 모델링 첨단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빠르게 모델링을 진행하고, 확장성 또한 매우 큽니다. 

 

아크버스 물류센터

 

물류센터를 아크 버스로 구현하여 아크 시스템과 로봇을 이용한 자율 물류 시스템, 설비 안전 문제 해결, 물류 센터 건설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아크 버스는 기존 메타버스가 'B2C' 이 었던 것과 달리 'B2B'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산업계의 메타버스'라고도 불립니다. 앞서 설명드린 사례 외에도 공정설계, 물품제조 등 수많은 산업현장에 아크 버스가 활용될 수 있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