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어플(MTS)에서 해외주식 매매 차익이나, 해외주식 배당금 등으로 생긴 달러 예수금을 원화로 환전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으며, 타 증권사는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달러 예수금 환전하는 방법 [요약]
타 증권사들과 달리 미래에셋증권은 해외주식 MTS가 따로 있기 때문에, 달러 예수금 환전을 위해서는 미래에셋 해외주식/선물 MTS인 m.Global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포스팅을 끝까지 참고해주세요!
미래에셋증권에서 달러 예수금 환전하는 방법
- m.Global 어플 실행
- 메뉴 ▶ 뱅킹/자산 ▶ 환전
- (달러 > 원화일 경우) 외화 매수
타 증권사에서 달러 예수금 환전하는 방법 (삼성증권 , NH증권 , KB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각 증권사별로 세부항목명은 다를 수도 있습니다. 포스팅 하단에 증권사별 환전 방법을 요약해놓았습니다. 참고해주세요!
- MTS 실행
- 메뉴 ▶ 해외주식 ▶ 환전 (환전 신청/내역) or 메뉴 ▶ 뱅킹 서비스 ▶ 외화 환전
미래에셋증권에서 달러 예수금 환전하는 방법
우선 m.Global 어플을 실행해주시고 좌측 하단의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하단의 그림 참고)
그리고 좌측 메뉴에서 '뱅킹/자산'을 클릭해주시고 외화/환전 메뉴에서 '환전'을 클릭합니다.
환전 화면에서 상단의 '외화 매도'를 클릭합니다. 외화 매도는 말 그대로 외화인 달러를 원화로 판다는 의미입니다.
※ 대부분 해외주식 매매 차익을 원화로 실현하거나, 달러 배당금을 원화로 환전하시는 경우일 테니,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는 방법으로 설명드릴게요.
자신의 주식거래계좌를 선택하시고 비밀번호를 입력하 신다음 화면 하단에서 환율을 확인해주세요. 최대 환전 가능금액에 따라 원하시는 만큼의 달러를 입력하신 후 환전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타 증권사에서 달러 예수금 환전하는 방법 (MTS)
미래에셋증권을 제외한 타 증권사들은 해외주식/국내 주식 MTS가 따로 있지 않기 때문에, 좀 더 편리한 편입니다. 하단에 증권사별 환전 방법을 요약해놓았습니다.
환전을 신청하는 화면은 미래에셋증권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앞선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NH증권
좌측 하단의 '메뉴' ▶ '해외주식' ▶ '환전 신청/내역' ▶ '환전'
삼성증권
우측 하단의 '메뉴' ▶ '해외주식' ▶ '잔고/환전' ▶ '환전'
KB증권
좌측 하단의 '메뉴' ▶ 화면 상단의 '(오픈) 뱅킹 대출/공모주' ▶ 화면 좌측의 '환전/외화' ▶ '외화 환전'
한국투자증권
좌측 하단의 '메뉴' ▶ 화면 상단의 '계좌/서비스' ▶ 화면 좌측의 '외화' ▶ 환전/외화 메뉴에서 '환전'
신한금융투자
좌측하단의 '메뉴' ▶ 화면 좌측의 '해외주식' ▶ '환전' ▶ '환전 신청'
기타 주의사항
주의하실 점은 환율은 매수하실 때와 매도하실 때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달러를 원화로 바꿀 때 보다 원화를 달러로 바꿀때 환율이 비쌉니다.
또한 예수금을 원화로 환전하실 때는 환율 시세를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달러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1120원 이하일 때는 달러를 매수하고 1250원 이상일 때는 달러를 매도합니다. 하지만 이는 투자의 목적으로 달러를 환전하시는 분들 기준입니다.
'알면 쓸모있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카카오페이 공모주 청약 알리미 설정 및 해지하는 방법 (0) | 2022.02.10 |
---|---|
[RFID 란?] RFID 작동원리와 활용사례 쉽게 알아보자! (0) | 2022.01.29 |
신용거래 반대매매 기준 - 반대매매 시기, 금액, 기준 찾는 방법! (0) | 2022.01.25 |
삼성증권 주식담보대출 (증권담보대출) 신청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2.01.19 |
삼성증권 신용거래 방법 및 주의사항 등 쉽게 정리! (0) | 2022.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