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수소는 수소 생태계에 있어 현재 상황에서 최적의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블루 수소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 및 관련주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수소 종류별 차이에 대한 포스팅은 여기를 눌러 참고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블루 수소 생산 관련 기업
SK (SK E&S)
SK의 경우 2025년부터 블루수소 대량생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SK는 자회사 SK E&S (국내 최대의 LNG 관련 기업)를 통해 LNG와 같은 천연가스를 공급받고, SK 어스 온 (SK 이노베이션)을 통해 석유와 같은 탄화수소 화석연료를 공급받아 보령 LNG터미널 인근 지역에서 수소 생산 플랜트와 CCS 기술을 활용한 블루 수소 생산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SK는 포스코와 더불어 블루 수소 최대의 생산 기업이 될 것으로 예정되며 SK E&S를 통해 연간 300만 톤이 넘는 LNG에서 약 25만 톤의 블루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는 현대차 그룹의 대표 수소자동차 넥쏘 약 70만 대가 모두 지구 한 바퀴를 도는 데 사용되는 양과 동일합니다.
추가로 2023년까지 SK인천 석유화학단지에 연간 3만 톤 이상을 생산해내는 세계 최대 수소액화플랜트 완공, 수소 충전소 전국 100개 설립 등의 계획이 있습니다. 기술적인 부분에서도 SK그룹의 SK이노베이션이 2013년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 원재료인 폴리머 생산에 사용하는 기술을 보유했으며, SK머티리얼즈는 세계 7개국에 특허가 등록된 액상 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을 이전받았습니다.
현재로썬 SK 지주사에 투자하는 방식이 최선이지만 SK의 경우 자회사 물적분할이 빈번한 기업이기 때문에 수소사업에 있어 자금조달이 필요하거나 산업의 경쟁력이 확실히 갖춰진다면 SK E&S의 IPO가 이루어질 수도 있지 않나 조심스럽게 예측해봅니다.
롯데케미컬
롯데케미컬은 점차적으로 블루 수소 및 그린 수소의 생산량을 늘려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담당하겠다는 비전을 세웠습니다. 구체적인 진행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성엔지니어링, SK가스와 수소 생태계 관련 업무 협약을 맺었으며, 이미 CO2 기체 분리막 관련 기술 등 보유
- 2025년까지 전국에 액화수소 충전시설 50개 구축 예정
- 2025년까지 CCS를 활용한 블루 소소 16만 톤 생산 예정
- 2030년까지 그린 수소와 블루 수소 총 60만 톤 생산 예정
현대중공업 (현대오일뱅크)
현대중공업은 자회사 현대오일뱅크 (현대중공업 지주사 지분 약 74%)가 블루 수소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계 최대 사우디아라비아 정유기업 아람코로부터 프리 IPO를 통해 약 1조 3천억의 자금을 조달받았으며, 블루 수소 생산을 위한 LPG 공급 계약 체결
- 2025년까지 블루 수소 10만 톤 생산 예정
- 현재 IPO 추진 예정 중
효성그룹
효성은 현재 수소 충전 인프라 관련 국내 점유율 1위 기업으로 그룹 내 효성 화학에서는 부생수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부생수소와 인프라 관련해서 국내 시장 점유율은 상당하며, 향후 지속적 R&D를 통해 그린 및 블루 수소와 CCS 기술 지원을 확대 중입니다.
- 세계 최대 액화수소기술 관련 독일 기업 린데와 린데 수소에너지 합작 설립을 통해 2023년까지 수소액화플랜트 완공 예정
- 효성 첨단소재에서 수소연료탱크 소재 생산
그 외에도 수소연료전지 핵심소재 '멤브래인'의 국산화에 성공한 코오롱인더스트리와 포스코, 두산, 한화 (한화 솔루션), 삼성엔지니어링, GS에너지 등의 기업이 블루 및 그린 수소 관련 기술 발전에 대한 계획을 내세웠으며, 향후 10년 이내에 대량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선 블루 수소 자체로 이익을 실현하는 기업은 부재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향후 기술혁신으로 블루 수소와 그린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 상용화가 성공한다면 현재 기술 선두 그룹들은 재평가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정유 관련 사업이 환경 문제로 사양산업이 되면서 수소가 기업들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정말 좋은 투자가 될 것이라 판단됩니다.
'섹터별 지식창고 > 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 암모니아를 개발 및 사용하는 이유 - 블루 암모니아의 장점 (0) | 2021.12.26 |
---|---|
전기자동차의 구조와 핵심부품 대학생도 만들수있을만큼 간단하다? (0) | 2021.12.17 |
수소에너지의 생산방식과 종류 - 수소라고 다 같은 수소가 아니다? (0) | 2021.12.16 |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핵융합 기술 원리와 장단점을 쉽게 알아보자 (0) | 2021.11.28 |
[SMR 장점] 소형모듈원전 SMR 개념과 장점 (Feat.관련주) (0) | 2021.11.25 |
댓글